제주살이를 하며 가장 크게 체감하는 변화 중 하나는 ‘장보기’입니다.
육지에서는 마트나 온라인 쇼핑으로 빠르게 해결할 수 있었던 장보기가,
제주에서는 생각보다 더 ‘발품’을 요구하는 일이 많아요.
오늘은 제주살이 2년 차 도민이 정리한 현실적인 장보기 루트를 소개할게요.
🛒 1. 대형마트는 어떻게 다를까?
이마트, 하나로마트, 홈플러스 등 주요 대형마트는 제주에도 입점해 있습니다.
하지만 품목이나 가격 면에서는 육지와 큰 차이가 없으며,
재래시장이나 지역 마트와 병행해서 사용하는 보조 수단에 가까워요.
- 대표 지점: 이마트 신제주점, 하나로마트 도두점, 홈플러스 제주점
- 장점: 다양한 품목, 주차 가능
- 단점: 붐비는 시간대가 많고, 지역 특산물은 부족
🥬 2. 재래시장 활용이 핵심!
제주도에는 지역별로 소규모 재래시장부터 오일장까지 다양하게 있습니다.
생활 반경 안에 있는 재래시장과 친해지는 것이 핵심이에요.
- 거주지 중심으로 생활 밀착형 재래시장 활용
- 이른 시간에 방문해야 신선하고 가격도 유리함
- 오일장은 요일별로 다르기 때문에 미리 확인 필수
- 예: 세화 오일장(매월05,10,15,20,25,30일 장이 열려요)
장점
- 제주산 채소, 해산물, 계절 과일 구입에 유리
- 소량 구매 가능, 현지 농산물 저렴
- 흥정 및 인간적인 교류도 장점
단점
- 카드 불가 가게 존재, 주차 어려움
- 처음엔 가격 비교가 어려울 수 있음
📦 3. 온라인 장보기는 제한적
육지에서는 쿠팡 로켓프레시, 마켓컬리 등 당일배송이 일상이지만,
제주도는 배송 시간이 더 오래 걸리고, 상품 종류도 제한적이에요.
- 배송 소요: 2~4일 이상, 신선식품은 어려움
- 쿠팡/마켓컬리: 일부 제주 전용 배송 상품 존재
- 농협몰, 오일장신문: 지역 특산물 중심 판매
결론적으로 제주살이는 오프라인 장보기가 여전히 중심입니다.
따라서 거주지 주변의 상점 정보, 시장 요일, 농산물 판매처 등을 잘 활용하는 게 핵심이에요.
🥕 4. 당근마켓 장보기 활용 팁
제주도 당근마켓에는 지역 농산물 직거래가 활발합니다.
- 구좌 당근, 무, 양배추, 한라봉, 귤 등은 파지상품이나 직접 수확분을 저렴하게 구입 가능
- 양이 많기 때문에 이웃과 나누거나 육지 가족에게 택배 보내는 경우도 많음
- ‘제주 ○○ 마켓’으로 검색하면 지역별로 실시간 장터 활용 가능
🌱 5. 나눔 문화도 있다!
제주에는 텃밭을 가꾸거나 농사를 짓는 주민들이 많아,
가까운 지인이나 이웃으로부터 채소, 귤 등을 나눔 받는 경우도 흔해요.
이런 ‘나눔 문화’는 제주에서 살아야 알게 되는 따뜻한 일상의 일부입니다.
💡 장보기 요령 요약
- 재래시장/오일장 요일 미리 체크
- 당근마켓으로 실시간 특산물 확인
- 대형마트는 필요할 때만 이용, 오프라인 중심 루틴 확립
- 거주지 주변 장보기 루트 확보가 핵심
✨ 마무리하며
제주살이의 장보기는 육지보다 조금 더 복잡하지만,
그만큼 생활밀착형 정보가 쌓이고,
시간이 지날수록 내 루틴이 생기면서 안정감 있는 소비로 바뀌게 됩니다.
지금 제주살이를 시작하거나 고민 중이라면,
이 글이 장보기 루틴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. 😊
'제주살이 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육지에서 제주도로 이사하는 법 – 짐 유무, 차량 도선 방식별 꿀팁 총정리 (3) | 2025.07.11 |
---|---|
제주에서 집 구하기 – 도민이 알려주는 현실 팁 (5) | 2025.07.09 |
제주살이, 생각보다 돈이 더 드는 이유 5가지 (5) | 2025.07.08 |
제주살이 꿀팁! 도민이 매일 쓰는 필수 앱 & 사이트 8가지 총정리 (1) | 2025.07.07 |
제주로 이사하기 전에 알아야 할 현실 5가지 (0) | 2025.07.06 |